[머니투데이 강기택기자]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들이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 입니다.
최근 현대자동차는 노조 공화국이 됐다. 정부(노조집행부)와 6개의 야당(현장조직과 그 대의원)으로 이뤄진 이 공화국은 오는 9월 새로운 대통령(노조위원장)을 뽑는다.
선거를 앞두고 레임덕이 심해져 초강성으로 분류됐던 현 대통령조차도 여러 정파로부터 공격당하고 있다.
현 대통령은 적(회사)과 야합해 국민(조합원)의 이익(주말특근 때의 고임금과 낮은 라인 가동 속도)을 저버린 매국노 취급을 받고 있다. 아무리 성과(회사로부터 얻어낸 결과물)를 내도 야당은 칭찬할 줄 모른다. 오히려 더 따내지 못했다고 비난한다.
노조위원장이 되면 제네시스 의전차를 타고, 연간 200억원의 예산을 주무른다. 그 경력을 밑천 삼아 더 큰 정치판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그런 까닭에 모두가 그 자리를 노린다.
그러다보니 "일단 잡고 보자"는 포퓰리즘 공약이 남발한다. 공약은 통념과 상식을 벗어나는 건 기본이고 가급적 적(회사)이 들어줄 수 없는 것이면 더 선명성을 높일 수 있어 좋다.
올해도 되풀이되고 있다. 그 산물인 임단협 요구안은 가관이다.
우선 노조활동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 면제를 요구했다. 노조가 '정당한 활동'이라고 하면 법적 시비를 가리지 말라는 얘기다. 나아가 작년 순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달라고 요구했다.
현대차의 연결기준 순익에는 해외법인, 현대차 계열 금융사의 순익도 포함된다. 미국 앨라배마 공장이 14.6시간 걸려 차 한 대를 만들 때 울산공장이 31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가장 생산성이 낮은 국내 공장의 노조가 남의 몫까지 넘겨다 보는 셈이다.
현행 '58세+1년+1년'인 정년을 61세로 연장하자는 안은 일부 대의원들조차도 여론의 비판을 우려해 60세로 하자고 했던 부분이다. 40년 이상 장기근속자에 대해 금 15돈과 상여금 200%를 달라고도 했다. 30년 이상 근속자에 대해선 자동차 값 35%를 할인해주란다.
30% 이상 가격을 깎아주면 증여가 될 수 있는데 증여세도 내달라고 할 지 모른다. 1년 이상 근속한 조합원의 전 자녀(기존 3년 이상 근속, 3자녀)에 대해 중,고,대학 입학금과 등록금을 전액 지원하고 대학에 못 간 자녀를 위해 기술취득 지원금 1000만원을 달라는 안도 있다.
그러나 지나치면 화가 된다. 세계1위였던 GM이 노조의 정치집단화, 지나친 빼먹기 경쟁 등으로 하루아침에 멍들고 휘청거렸던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자동차산업의 전후방 연관효과를 감안하면 현대차가 잘못되는 것은 국가적 재앙이기 때문에 국민들도 우려의 눈으로 쳐다보고 있다.
일부에선 "노조 꼴 보기 싫어 사기 싫다"는 여론도 있지만 그래도 묵묵히 현대차를 선택하는 이유를 노조는 곱씹어 봐야할 것이다.
http://media.daum.net/economic/autos/newsview?newsid=20130520055706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