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스포넷 공식 설문☆    차종 변경 하거나 추가 하신 회원..?     ::설문 참여하기::

스포넷 메인 게시판입니다. 서로 존중하면서 편하고 자유롭게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만약 디젤 스퐁이에 주유소 알바생이 휘발류를 넣었다면 누구한테 보상 받아야 할까??

예전 자게판에서 디젤 차량에 휘발유를 넣어버리는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한 알바생

이야기를 본적이 있습니다 비슷한 이야기 인데요 상황에 다르겠지만 사장이 1차적인

피해보상을 해야한다는 판례가 나왔네요 주유소 사장, 알바, 차주 모두다 불쌍하네요

스퐁이 디젤차량과 휘발류 차량이 있어서 간혹 요런 불상사 일어나더군요 전 그래서

셀프 주유소 다닙니다 ㅋㅋ 근데 가끔 부득히 하게 일반 주유소에서 넣을때 꼭 디젤(경유)

라고 말하고 넣어야겠네요~ 횐님들 오늘도 안운하세요~


출처 - http://media.daum.net/economic/view.html?cateid=1041&newsid=20091020160111295&p=ohmynews

외제 경유차에 누가 휘발유 넣으랬어?
오마이뉴스 | 입력 2009.10.20 16:01 | 누가 봤을까? 50대 남성, 전라





[오마이뉴스 김용국 기자]
폼에 죽고 폼에 사는 차가오(가명)씨. 평소 외제 자동차를 끌고 다니는 게 소원이었다. 그는 큰 맘먹고 V사의 배기량 3000cc급 대형 승용차를 질렀다, 라고 주위에 소문냈지만 사실은 리스로 운행하고 다녔다. 지방에 내려갈 일이 있어서 직장 근처 주유소에 들러서 기름을 가득 채운 차씨는 고속도로에 진입하려는 순간 평소와 달리 자동차 소음이 심하고 엔진이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혹시 주유하는 과정에 문제가 없었을까. 차를 돌려 주유소로 가서 자초지종을 들어본 차씨는 망연자실해졌다. 직원은 "휘발유를 가득 채웠을 뿐"이라는데 문제는 차씨의 자동차가 경유차라는 데 있었다. 차씨가 그냥 "가득 넣어달라"는 말을 하자 경험이 부족한 아르바이트생은 '고급차=휘발유차'인 줄만 알고 이같은 대형사고를 저질렀던 것이다.

차씨는 자동차를 서비스센터에 맡겼는데 운행중 엔진이 수시로 꺼지는 등 결함이 발생하여 한 달간 수리비만 수천만 원이 든다고 한다. 자동차 혼유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할까.

차씨나 주유소 사장과 아르바이트생 모두 불안에 떨게 할 만한 일이 벌어졌다.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법대로 따져보자.

외제차 수리비는 주유소 사장 주머니에서

민법은 고의나 과실로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손해배상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법을 떠나서라도 어떤 일에 종사하는 사람은 자신의 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의무가 있다. 당연히 주유소 직원도 차량이 어떤 연료를 사용하는지 확인하여 그에 알맞는 연료를 주유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따라서 이 사건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유소 측에 과실이 있다. 그렇다면 누가 배상해야 할까.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한 사장이 1차적으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법에서는 이를 사용자 책임이라고 한다. 민법을 보자.

제756조 (사용자의 배상책임)
①타인을 사용하여 어느 사무에 종사하게 한 자는 피용자가 그 사무집행에 관하여 제3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차씨는 사장에게 직접 수리비 등을 청구할 수 있다. 사장은 아르바이트생의 실수라는 말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고, 다만 나중에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을 뿐이다.

구상권이란



채무를 갚아준 사람이 채무 당사자에게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
가장 쉬운 예를 들어보자. A가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데 B가 보증을 서주었다. 그런데 은행의 빚 독촉에 못이겨 B가 A 대신 은행에 대출 빚을 갚았다. 이때 A에게 돈을 돌려달라고 할 수 있는 B의 권리를 구상권이라고 한다.

기사에 나온 사례를 보면, 주유소 사장도 차 주인에게 손해배상을 한 후 아르바이트생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하지만 주유소 사장은 종업원을 잘 관리하고 교육해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재판까지 가더라도 아르바이트생에게 전액을 돌려받기는 힘들 것이다.


차씨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어디까지일까. 일단 생각할 수 있는 손해를 모두 짚어보자. 쉽게 떠올려 보면, 차량 수리비와 대차(렌터카)비용, 차량 성능 감소로 인한 손해(교환가치 감소분), 스트레스 등 정신적 피해(위자료) 등이 있을 것이다. 여기에, 법과 판례는 통상의 손해를 기준으로 하고 예외적인 경우에만 그 이상의 특별한 손해까지 배상해준다는 점을 기억하며 하나하나 따져보자.

우선 상식으로도 차량 수리비와 렌터카 비용은 지불하는 것이 마땅하다. 수리비는 이미 들어간 비용과 앞으로 들어갈 비용을 포함한다. 단, 렌터카 비용은 무조건 지급하는 것이 아니고 법원이 통상적인 수리기간을 계산하여 사고 정도에 따라 15일-60일치 정도를 지급하게 된다.

그 다음이 교환가치 감소분이다. 새 차가 사고 때문에 차량의 가치나 성능이 떨어졌다면 그 부분을 손해로 배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법원은 주행거리와 출고일 기준으로 신차로 볼 수 있으면, 수백만 원 정도를 손해액으로 인정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위자료이다. 이 사건으로 차씨가 정신적인 고통을 받았을지 모르지만 법원은 인명사고가 아닌 단순한 재산 피해만 입은 경우엔 위자료를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 비용보상으로 정신적 고통은 회복된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차씨는 차량수리비, 렌터카 비용, 새차인 경우 교환가치 감소분을 손해배상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경유 넣으라는 말 안한 차주인도 20% 과실"

여기서 주유소 사장은 "차씨에게도 잘못이 있지 않느냐"고 따져볼 만하다. 사실 차씨의 자동차는 외제차인데다가 휘발유차로 착각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미리 경유차라는 사실을 직원에게 알렸어야 했지만 차씨는 "가득 넣어달라"는 말만 했다. 법원은 이를 감안하여 차씨에게도 20% 정도의 과실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와 유사한 자동차 혼유 사건에서 법원은 "경유 차량 운전자가 사용 연료를 알리지 않고 휘발유 전용 주유기 앞에 차를 정차하였다면 30%의 책임이 있다"는 판결을 내놓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전체 비용 중에서 주유소 사장과 차씨의 부담액은 8 : 2가 되는 셈이다. 따라서 차씨가 손해배상으로 받을 수 있는 돈은 다음과 같다.

1. 차량 수리비용 : 2천만원
2. 대차(렌터카)비용 : 3백만원(1일 10만원 ×30일)
3. 교환가치 감소분 : 2백만원 (수리 후에도 엔진 소음, 차량이 떨림.)
4. 위자료 : 재산상 손해이므로 인정되지 않음.
∴2천 5백만원(1+2+3)×80%(차씨의 과실 제외)=2천만 원
주유소 사장 입장에서 보면 생돈 2천만 원을 물어준 격이고, 차씨 처지에서도 5백만 원이라는 큰 돈이 들어가게 생겼다. 양쪽 다 부주의의 대가치고는 너무 크다.

최근 국내차도 경유와 휘발유차가 함께 나오는 모델이 많이 늘었다. 따라서 주유할 때는 운전자나 주유소 직원이나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불상사를 미리 막을 수 있다.

대리운전 기사의 사고는 주인 책임
-직접적인 가해자가 아닌데도 손해배상 하는 경우



법에는 직접적인 가해자가 아닌데도 손해 배상 책임을 묻는 경우가 있다. 불법행위를 한 자의 부모, 보호자, 고용주, 자동차 주인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미성년자나 심신상실자(정상적인 판단과 행동을 할 수 없는 사람)는 불법행위를 저질렀더라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 대신 이 때는 부모, 학교장, 병원장 등 감독하는 사람에게 배상책임이 있다. 또한, 민법은 종업원을 고용한 사장(사용자책임), 건물주나 세입자(공작물 점유자 ·소유자 책임), 동물을 관리하는 사람(동물 점유자)에게 불법행위로 인한 책임을 묻는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사례에 나오는 주유소 사장이나 애완개의 주인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인정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리운전을 시켜 집으로 오다가 대리운전기사가 사람을 치었다면 누구의 책임일까. 법에 따르면 자동차 소유자의 책임이다.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자동차손해배상책임)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는 그 운행으로 다른 사람을 사망하게 하거나 부상하게 한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진다.

물론, 대리운전 기사가 아무런 책임이 있다는 뜻은 결코 아니고 소유자가 '운행자'로서 책임을 진다는 말이다. 운행자란 직접 운전을 했는지와는 관계없이 자기를 위해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을 말하며, 소유자보다 더 넓은 개념이다. 따라서 가족이나 친구에게 차를 빌려주었다가 인명사고를 낸 경우에도 주인에게 책임이 있다.


[☞ 오마이 블로그]
[☞ 오마이뉴스E 바로가기]
- Copyrights ⓒ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경]톰스톤 [서경]톰스톤
7 Lv. 16400/20000P

댓글의 나의 힘~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12

스포넷은 자동 등업 시스템입니다. 가입후 가입인사 게시판과 출고신고 게시판에 인사 남겨주세요. 함께 환영 댓글 다시면 어느새 등급이 올라갈겁니다. ^0^
profile image
넉울-_-v 2009.10.20. 17:57
오~이 기사 보고 괜찮은 기사라는 생각이 들어,
저도 방금 올리려 했는데..이미 올리셨군요..ㅎㅎ

기자가 공부한 흔적이 보입니다..
기사는 이래 작성해야지..
조중동 찌라시들과 비교되는...-_-ㅋ
profile image
[서경]톰스톤 작성자 2009.10.20. 17:57
2차적으론 디젤이라 말하지 않은 차주에게도 20% 괴실이 붙었네요
항상 조심 해야겠어요~
profile image
[서경]톰스톤 작성자 2009.10.20. 17:58
너울님 제가 먼저 선수 쳤습니다 ^^ 제가 조금 빨랐네요 ㅋㅋㅋㅋ
profile image
넉울-_-v 2009.10.20. 18:00
톰스톤님// 별말씀을요..ㅎㅎㅎㅎ 아무튼 좋은 정보입니다~
profile image
[충]불멸의토끼 2009.10.20. 18:02
톰스톤님//
통상적으로 경유라로 통용되는 차량에게는 과실률 30% 안될껍니다.
알바생이 경유차인지 잘 모를 차량이라 30% 이야기가 나온걸껍니다.

일례로..
달달거리는 포터에 휘발유를 넣었따면.. 차주 과실이 30%가 나올수가 없죠..
profile image
[서경]톰스톤 작성자 2009.10.20. 18:46
맞습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오인해서 주유하게 된다면 일단 사업소 들어가면
어찌되었든 이래저래 시간낭비, 정신 건강에 좋지 않을것 같네요
그렇기에 디젤이라고 미리 밝히는게 안전할듯 싶네요 ^^
[서경]봄이아빠 2009.10.20. 18:52
저도 예전 (19살)때 주유소 알바할때 있었습니다
그때 점심시간이라 교대로 밥먹었는대 저 혼자 주유하고 있을때 차가 막 밀려 들어 오더군요 ㅡㅡ;; 얼마나 난감하던지
암튼 그때 정신이 없어서 봉고차에 휘발휴를 넣은적 있었는대 부란자세척했다면서 수리비 25만원돈 청구하더군요 ㅜㅠ
주유소 소장이 조용히 불러서 하는 말이 반반 부담하자고 ㅡㅡ;; 그래서 저는 반반 부담했습니다 ㅜㅠ
profile image
[서경]톰스톤 작성자 2009.10.20. 21:40
그래도 양심있는 주유소 사장님들도 있네요,,,
만약 제차에 휘발유 넣었다면 전 알바를 깠을것 같네요
그리고 보상은 사장에게로,,,ㅋㅋ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버그를 찾아라~] 스포넷 이용 불편사항 접수. 81 image nattylove 17.10.18.02:08 372만
공지 [공식 설문] 차량 변경 또는 추가 하신 분...?? - 선물 있어요 - 248 image nattylove 17.10.13.09:59 494만
공지 스포넷에 대한 안내 (2006/04/10) 371 image nattylove 04.07.21.16:21 173만
공지 스포티지 출고를 받으신 분은 반드시 출생신고 해주세요! 89 image nattylove 04.08.19.14:27 156만
35290
image
yeopo 16.09.06.19:49 1698
35289
image
[경]상북이도다 16.11.07.01:30 1698
35288
image
자폭인생 04.08.31.21:04 1699
35287
image
[서경]예림-안양 05.08.02.10:39 1699
35286
image
깜밥 아님[은랑교] 06.02.24.09:59 1699
35285
image
[서경]폭주천사 06.04.10.21:01 1699
35284
image
[서경]Linus 06.05.09.15:24 1699
35283
image
바다™ 07.02.23.16:39 1699
35282
image
[경]불타는새가슴 07.04.04.10:34 1699
35281
image
[충]홍뽕™ 08.02.08.11:54 1699
35280
image
[서경]저시키알바!! 08.09.19.11:20 1699
35279
image
[전]퓨어블랙 08.11.19.09:49 1699
35278
image
[서경]혈향 08.11.21.03:40 1699
35277
image
[서경]클라비노바 09.05.18.07:23 1699
35276
image
[서경]crom 09.08.24.16:17 1699
image
[서경]톰스톤 09.10.20.17:55 1698
35274
image
[제주]통시 09.12.08.23:35 1699
35273
image
[서경]가람대디 10.01.18.12:54 1699
35272
image
누군겨 10.04.29.09:33 1699
35271
image
[서경]쿈 10.06.06.00:42 1699
35270
image
[서경]칼있으마진이[오산] 10.06.08.11:31 1699
35269
image
[서경]아무것도몰라요 10.07.03.01:02 1699
35268
image
해랑사 10.07.30.17:55 1699
35267
image
[서경]뽀록 10.11.18.13:14 1699
35266
image
[서경]x다크 10.12.21.09:45 1699
35265
image
[경]불꽃남자 11.01.03.23:43 1699
35264
image
[서경]블랙이글 11.02.18.23:07 1699
35263
image
초보라고 11.07.04.15:48 1699
35262
image
[서경]마초맨 11.07.20.18:51 1699
35261
image
[서경]드레이먼 11.07.26.09:53 1699
35260
image
[서경]파라 11.08.04.10:15 1699
35259
image
[경]멍멍신기 11.08.22.09:04 1699
35258
image
[서경]백검 12.04.11.13:56 1699
35257
image
충청스퐁탱지 12.04.27.21:20 1699
35256
image
[충]♪브라보™♬ 12.05.12.21:42 1699
35255
image
[광주]예서아빠 12.05.14.16:21 1699
35254
image
[경]상북이도다 12.06.26.10:26 1699
35253
image
[서경]키라칸 13.01.01.14:49 1699
35252
image
록마후라 13.01.30.00:23 1699
35251
image
[서경]티지™ 13.11.01.14:32 1699